본문 바로가기

한국사/한국사4

후삼국시대 - 통일신라와 후고구려, 후백제 1. 후삼국 시대1) 호족의 등장(1) 배경신라 하대(9세기)에는 진골 귀족들 사이에서 왕위 다툼이 심화되었고, 이로 인해 지방 세력이 성장하게 되었습니다.신라는 세금 징수를 강화하고 사회 혼란이 가중되었으며, 이에 따라 농민 봉기가 발생하였습니다.이러한 혼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되었고, 지방 세력(호족)이 점차 성장하였습니다.(2) 호족의 성장지방의 독립적인 세력이 커지면서 중앙 정부와 대립하게 되었습니다.(3) 호족의 특성지방을 독자적으로 다스리는 세력으로 성장하였습니다.대부분 촌주층 출신이었으며, 다양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군사적 기반 : 낙향한 군진 세력(궁예) 경제적 기반 : 군소 세력(견훤) 행정적 기반 : 해상 무역 세력(왕건)(4) 호족의 사상적 기반불교 :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성향을 .. 2025. 3. 2.
고대 삼국시대 2 - 금관가야 대가야 우산국 5. 가야1) 금관가야(1) 건국과 성장금관가야의 건국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부족하지만, 《삼국유사》에 따르면 수로왕이 건국한 것으로 전해집니다.기원전 1세기경부터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하였으며, 경상남도 김해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습니다.해상 교통의 이점을 활용해 번성하였습니다.가야 연맹의 초기 중심국으로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금관가야는 풍부한 철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철제 무기, 농기구, 장신구 등을 제작하여 주변 국가들과 교역하였고, 일본에서 출토된 가야식 유물들은 이러한 교역 관계를 보여줍니다.일본과 중국에 철을 수출하며 경제력을 키웠습니다.(2) 신라에 의한 멸망 (532년)금관가야는 점차 신라와 백제 사이에서 세력이 약화되었으며, 신라 법흥왕에 의해 532년에 멸망.. 2025. 2. 20.
고대 삼국시대 1 - 신라 고구려 백제 1. 고대 국가의 특징1) 국가 형성 과정초기에는 여러 소국이 존재하는 연맹 왕국 형태였으며, 점차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였습니다.율령 반포, 불교 수용, 관등제 정비, 군사력 강화 등이 중앙집권화의 핵심 요소였습니다.고구려는 태조왕(1세기 후반) 시기에 왕권을 강화하기 시작하였고, 고국천왕(2세기 후반) 때부터 부자 상속이 이루어지면서 중앙집권화가 본격화되었습니다.백제는 고이왕(3세기) 시기부터 율령을 반포하고 관등제를 정비하면서 중앙집권적 체제를 갖추었습니다.신라는 내물 마립간(4세기 후반) 시기에 왕권을 강화하였으며, 이후 법흥왕(6세기) 때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하면서 중앙집권 국가로 정비되었습니다.2) 정치 체제왕권 강화 과정 : 귀족 세력이 강했으나, 점차 왕권 중심의 국가 체제가 확립되.. 2025. 2. 20.
한국사 시대구분과 역대왕 연대표 -시대구분시대국가연도구석기시대 기원전 70만년 ~ 기원전 8000년경신석기시대 기원전 8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청동기시대고조선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철기시대 기원전 4세기 ~ 부여기원전 2세기 ~ 494년  삼한 (마한, 진한, 변한)    옥저 기원전 3세기 ~ 285년 동예기원전 82년 ~ 4 또는 5세기고대신라기원전 57년 ~ 654년(상대) ~ 935년 고구려기원전 37년 ~ 668년 백제기원전 18년 ~ 660년 가야연맹42년 ~ 562년중세통일신라654년 ~ 935년(중대-하대) 발해698년 ~ 926년 후백제892년 ~ 936년 후고구려901년 ~ 918년 고려918년 ~ 1392년근대조선1392년 ~ 1910년 일제강점기1910년 ~ 1945년현대미군 군정1945년 ~.. 2025. 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