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통일신라4 통일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호족) 1. 후기 신라의 모습676년에 나당 전쟁이 끝나면서 신라는 당나라 군대를 몰아내고 대동강 이남 지역을 완전히 통일했습니다. 이후 9주 5소경을 설치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집사부의 장관인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왕권이 더욱 강해졌습니다.신문왕은 녹읍을 폐지하고, 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습니다. 또한, 기존의 진골 귀족 세력과 대립하던 6두품 출신의 득난 세력이 왕권과 결탁하면서 정치적으로 부각되었지만, 골품제는 여전히 유지되었고 진골 귀족들이 고위직을 독점하는 구조는 변하지 않았습니다.9세기에 들어서면서 왕위 쟁탈전이 잦아지고, 중앙 정부가 무능해지면서 조세 수취에 반발한 농민 봉기가 전국에서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나라가 혼란스러워졌고, 골품제의 폐단도 심화되었습.. 2025. 2. 28. 통일신라의 문화사 1. 불교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는 국가적인 보호를 받으며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불교는 왕실과 귀족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도 널리 퍼졌으며, 통일 이후 민심을 안정시키고 사회를 통합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특히 왕실은 불교를 국교로 삼고 사찰을 건립하며 불교를 장려하였습니다. 불교의 가르침을 통해 국가 통합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승려들은 종교적 활동뿐만 아니라 정치, 학문, 예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 불교의 발전 과정신라의 불교는 삼국 시대부터 수용되었으며, 통일 이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중국의 불교 사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독자적인 신앙 형태를 구축하였습니다. 특히 원효와 의상 같은 고승들이 등장하면서 교리적 논쟁과 실천 방안이 다양해졌습니다. .. 2025. 2. 27. 통일신라의 정치사와 경제사 1. 정치사1) 중앙 통치 조직통일 신라는 중앙 집권 체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중앙 관제를 정비하였습니다. 기존의 집사부를 중심으로 행정 체계를 운영하던 것을 확대하여, 행정과 군사, 사법을 담당하는 14부 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14부 체제 : 이 체제는 국가의 기능을 분업화하여 효율적인 통치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왕권을 강화하고 관료들의 권한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2) 지방 행정 조직9주 5소경 : 통일 신라는 중앙 집권 체제를 지방으로 확대하기 위해 9주 5소경 체제를 운영하였습니다. 9주는 전국을 아홉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통치하였으며, 5소경은 수도인 금성이 지방과의 거리가 먼 지역에 대한 행정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었습니다.상수리 제도 : 지방 세력을 견.. 2025. 2. 25. 통일신라의 역대 왕들의 업적 1. 통일신라 역대 왕통일 신라부터는 진골 왕족이 왕위를 계승합니다. 29대 무열왕 ~ 36대 혜공왕까지 중대, 37대 선덕왕 ~ 56대 경순왕까지 하대로 시대를 구분합니다.(중대)29대 대종 무열왕654 ~ 66130대 문무왕661 ~ 681 31대 신문왕681 ~ 69132대 효소왕692 ~ 702 33대 성덕왕702 ~ 73734대 효성왕737 ~ 742 35대 경덕왕742 ~ 76536대 혜공왕765 ~ 780(하대)37대 선덕왕780 ~ 78538대 원성왕785 ~ 798 39대 소성왕798 ~ 80040대 애장왕800 ~ 809 41대 헌덕왕809 ~ 82642대 흥덕왕826 ~ 836 43대 희강왕836 ~ 83844대 민애왕838 ~ 839 45대 신무왕83946대 문성왕839 ~ 857 .. 2025. 2.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