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3 고려 건국 - 후삼국 통일 과정 고려는 신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 후삼국(후백제, 후고구려, 신라)과 경쟁하며 통일을 이룩하였습니다. 왕건은 외교적 포용과 군사적 정복을 병행하며 고려를 성장시켰고, 936년 후백제를 멸망시키면서 최종적으로 통일을 완성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려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투와 사건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고려의 건국 궁예의 실정에 반발한 신하들은 궁예를 몰아내고 918년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고 919년 송악(현재의 개성)으로 수도를 옮겼습니다. 이후 고려는 세력을 정비하며 후백제와의 본격적인 대결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2.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1) 공산 전투 (927)견훤이 신라를 침략해 신라 경애왕을 살해하자 신라를 지원하기 위해 왕건이 고려군을 이끌고 출정하였습니다. 그러나 고려군.. 2025. 3. 2. 후삼국시대 - 통일신라와 후고구려, 후백제 1. 후삼국 시대1) 호족의 등장(1) 배경신라 하대(9세기)에는 진골 귀족들 사이에서 왕위 다툼이 심화되었고, 이로 인해 지방 세력이 성장하게 되었습니다.신라는 세금 징수를 강화하고 사회 혼란이 가중되었으며, 이에 따라 농민 봉기가 발생하였습니다.이러한 혼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되었고, 지방 세력(호족)이 점차 성장하였습니다.(2) 호족의 성장지방의 독립적인 세력이 커지면서 중앙 정부와 대립하게 되었습니다.(3) 호족의 특성지방을 독자적으로 다스리는 세력으로 성장하였습니다.대부분 촌주층 출신이었으며, 다양한 기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군사적 기반 : 낙향한 군진 세력(궁예) 경제적 기반 : 군소 세력(견훤) 행정적 기반 : 해상 무역 세력(왕건)(4) 호족의 사상적 기반불교 :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성향을 .. 2025. 3. 2. 발해 -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 1. 발해발해는 698년 대조영에 의해 건국되었습니다. 대조영은 본래 고구려 유민 또는 말갈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구려가 멸망한 후 당나라에 의해 통치되던 지역에서 독립을 추구했습니다. 당시 당나라가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통제하려 하자, 대조영은 이들을 이끌고 동쪽으로 이동했습니다.그 과정에서 천문령 전투(698년)에서 당나라군을 크게 물리친 후, 동모산 지역(현재 중국 동북 지역)에서 독립 국가를 세웠습니다. 처음에는 "진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했습니다. 2. 발해 역대 왕1대 고왕698 ~ 7199대 간왕817 ~ 8182대 무왕719 ~ 73710대 선왕818 ~ 8303대 문왕737 ~ 79311대 대이진830 ~ 8574대 대원의79312대 대건황857 ~ 8715대 성왕793 ~ 794.. 2025. 3. 1. 통일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호족) 1. 후기 신라의 모습676년에 나당 전쟁이 끝나면서 신라는 당나라 군대를 몰아내고 대동강 이남 지역을 완전히 통일했습니다. 이후 9주 5소경을 설치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집사부의 장관인 시중의 권한이 강화되면서 왕권이 더욱 강해졌습니다.신문왕은 녹읍을 폐지하고, 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습니다. 또한, 기존의 진골 귀족 세력과 대립하던 6두품 출신의 득난 세력이 왕권과 결탁하면서 정치적으로 부각되었지만, 골품제는 여전히 유지되었고 진골 귀족들이 고위직을 독점하는 구조는 변하지 않았습니다.9세기에 들어서면서 왕위 쟁탈전이 잦아지고, 중앙 정부가 무능해지면서 조세 수취에 반발한 농민 봉기가 전국에서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나라가 혼란스러워졌고, 골품제의 폐단도 심화되었습.. 2025. 2. 28. 통일신라의 문화사 1. 불교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는 국가적인 보호를 받으며 크게 발전하였습니다. 불교는 왕실과 귀족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도 널리 퍼졌으며, 통일 이후 민심을 안정시키고 사회를 통합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특히 왕실은 불교를 국교로 삼고 사찰을 건립하며 불교를 장려하였습니다. 불교의 가르침을 통해 국가 통합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승려들은 종교적 활동뿐만 아니라 정치, 학문, 예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 불교의 발전 과정신라의 불교는 삼국 시대부터 수용되었으며, 통일 이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중국의 불교 사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독자적인 신앙 형태를 구축하였습니다. 특히 원효와 의상 같은 고승들이 등장하면서 교리적 논쟁과 실천 방안이 다양해졌습니다. .. 2025. 2. 27. 통일신라의 정치사와 경제사 1. 정치사1) 중앙 통치 조직통일 신라는 중앙 집권 체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중앙 관제를 정비하였습니다. 기존의 집사부를 중심으로 행정 체계를 운영하던 것을 확대하여, 행정과 군사, 사법을 담당하는 14부 체제를 구축하였습니다.14부 체제 : 이 체제는 국가의 기능을 분업화하여 효율적인 통치를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왕권을 강화하고 관료들의 권한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2) 지방 행정 조직9주 5소경 : 통일 신라는 중앙 집권 체제를 지방으로 확대하기 위해 9주 5소경 체제를 운영하였습니다. 9주는 전국을 아홉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통치하였으며, 5소경은 수도인 금성이 지방과의 거리가 먼 지역에 대한 행정적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었습니다.상수리 제도 : 지방 세력을 견.. 2025. 2. 25.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