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신라

신라 역대 왕들의 업적

by 트릴리언 2025. 2. 20.
반응형

1. 신라의 시대구분

신라의 시대 구분은 고려 시대에 편찬된 "삼국사기"(김부식) 와 "삼국유사"(일연)에 따라 나뉩니다.
일반적으로는 혈통에 따라 나눈 "삼국사기"의 준을 따릅니다.

  1. 상대(上代) : 1대 박혁거세부터 28대 진덕여왕까지로, 성골이 왕위에 올랐던 시기입니다.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에 해당합니다.
  2. 중대(中代) : 29대 태종 무열왕부터 36대 혜공왕까지로, 진골이 왕위를 계승한 시기입니다. 특히 무열왕계 왕실이 이어지며, 통일신라가 시작된 때입니다.
  3. 하대(下代) : 37대 선덕왕부터 56대 경순왕까지로, 내물왕계 진골이 왕위에 오른 시기입니다. 신라의 국력이 약화된 시기이기도 합니다.

한편, "삼국유사"에서는 신라를 불교와 연관 지어 상고·중고·하고의 세 시기로 구분합니다.
이 글에서는 상고시대(1대~28대)의 역대 왕들이 남긴 업적을 살펴보겠습니다.
 

2. 신라 왕호의 변천사

거서간차차웅이사금마립간
군장제사장연장자대장군왕(중국식)
박혁거세남해유리내물마립간지증왕

 

3. 신라 상대(上代) 역대 왕

1대 혁거세 거서간기원전 57 ~ 42대 남해 차차웅4~ 24
3대 유리 이사금24 ~ 574대 탈해 이사금57 ~ 80
5대 파사 이사금80 ~ 1126대 지마 이사금112 ~ 134
7대 일성 이사금134 ~ 1548대 아달라 이사금154 ~ 184
9대 벌휴 이사금184 ~ 19610대 내해 이사금196 ~ 230
11대 조분 이사금230 ~ 24712대 첨해 이사금247 ~ 261
13대 미추 이사금262 ~284 14대 유례 이사금284 ~298 
15대 기림 이사금298 ~ 31016대 흘해 이사금310 ~ 356
17대 내물 마립간356 ~ 40218대 실성 마립간402 ~ 417
19대 눌지 마립간417 ~ 45820대 자비 마립간458 ~ 479
21대 소지 마립간479 ~ 50022대 지증왕500 ~ 514
23대 법흥왕514 ~ 54024대 진흥왕540 ~ 576
25대 진지왕576 ~ 57926대 진평왕579 ~ 632
27대 선덕여왕632 ~ 64728대 진덕여왕647 ~ 654

 

4. 신라 상대(上代) 역대 왕의 업적

1)  1대 박혁거세 거서간 (기원전 57 ~ 4)

  • 신라의 시조로, 나라를 건국하고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 국호를 ‘서라벌’로 정하고 왕권을 확립했습니다.

2)  17대 내물 마립간 (356 ~ 402)

  • 신라의 고대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 성골 출신으로, 김씨 왕위 계승 체제를 확립했습니다.
  •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지원을 받아 왜구를 토벌했습니다(400).
  • 고구려의 내정 간섭을 받았으나, 이를 계기로 고구려와 전진의 문화를 수용하며 발전했습니다.

3)  19대 눌지 마립간 (417 ~ 458)

  • 왕위 부자 상속제를 마련하여 왕권을 안정시켰습니다.
  • 백제와 ‘나제동맹’(433)을 맺어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대항했습니다.
  • 나제동맹을 통해 신라가 고구려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외교 정책을 펼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고구려 승려 묵호자가 신라에 불교를 전파했으나, 아직 공인되지는 않았습니다(457).

4)  21대 소지 마립간 (479 ~ 500)

  • 백제와 ‘혼인 동맹’(493)을 체결하여 두 나라의 동맹을 강화했습니다.
  • 신궁을 설치(487)하여 김씨 가문의 왕위 세습 체제를 공고히 했습니다.
  • 우역(우편제도)을 설치하여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습니다.
  • 수도에 최초로 시장을 개설했습니다.
  • 부족 집단이었던 6촌을 행정적 단위인 6부로 개편했습니다.

5)  22대 지증왕 (500 ~ 514)

  • 국호를 ‘신라’로 정하고 중국식 ‘왕’의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순장을 금지하고, 대신 토용(흙으로 만든 인형)을 매장하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노동력을 확보하려 했습니다.
  • 법과 제도를 마련하여 국가 운영 체계를 정비했습니다.
  • 소를 이용한 농경(우경)을 실시하여 농업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 시장을 관리·감독하는 기관인 동시전을 설치했습니다.
  • 지방 통치 제도로 ‘주’와 ‘군현’을 설치하고, 실직주(현재의 강원도 삼척 지역)에 이사부를 군주로 임명했습니다.
  • 이사부가 우산국(현재의 울릉도)을 정벌하여 신라 영토를 확장했습니다(512).

6)  23대 법흥왕 (514 ~ 540)

  • 불교를 공인하여(527)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신라에 정착했습니다.
  • 율령을 반포하여(520) 법과 제도를 정비했습니다.
  • 골품제를 정비하고 17관등제를 시행했으며, 관리들의 공복(공식 복장)을 제정했습니다.
  • 대가야와 혼인 동맹을 맺어 외교적으로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 울진 봉평비(524)를 건립하여 율령 반포, 영토 확장, 노인법 규정 등의 내용을 기록했습니다.
  • 병부를 설치하여 군사 조직을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상대등을 임명하여 정치 제도를 정비했습니다.
  •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신라의 자주성을 강화했습니다.
  • 금관가야를 정복하여(532) 신라의 영토를 확장하고 세력을 키웠습니다.
  • 율령 반포와 불교 공인을 통해 신라를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시켰습니다.

7)  24대 진흥왕 (540 ~ 576)

  • 영토를 대폭 확장하여 신라의 전성기를 열었습니다. 특히 한강 유역을 차지하여 경제적, 군사적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 화랑도를 정비하고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거칠부에게 국사를 편찬하도록 하여 신라의 역사 정리를 시작했습니다.
  • 단양 적성비(551)와 북한산비(555) 등 여러 비석을 세워 영토 확장의 업적을 기록했습니다.
  • 황룡사를 건립하여 불교를 장려하고 신라의 정신적 결속을 강화했습니다.

8)  25대 진지왕 (576 ~ 579)

  • 새로운 개혁 정책을 추진하려 했으나 귀족들의 반발로 폐위되었습니다.
  • 불교 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사찰 건립을 장려했습니다.
  • 신라 내부의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귀족 세력과의 대립으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었습니다.
  • 재위 기간이 짧아 특별한 업적이 많지 않았습니다.

9)  26대 진평왕 (579 ~ 632)

  • 백제와 고구려의 압박 속에서도 외교 정책을 펼치며 신라의 안정을 유지했습니다.
  • 당나라와 교류를 맺어 국제적인 관계를 강화했습니다.
  • 화랑도를 더욱 활성화하여 신라의 군사적, 정신적 기틀을 다졌습니다.
  • 여성의 정치 참여를 인정하며 이후 선덕여왕이 즉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원광법사의 "세속오계"를 정립하여 신라의 도덕적 기틀을 확립했습니다.

10)  27대 선덕여왕 (632 ~ 647)

  •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국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했습니다.
  •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여 불교를 장려하고 국가의 안정을 기원했습니다.
  • 첨성대를 세워 천문을 관측하고 농업 발전을 도모했습니다.
  • 백제와 고구려의 압박을 받았으나,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를 통해 이를 극복하려 했습니다.
  • 귀족 세력과의 대립이 심화되었으며, 이후 김춘추와 김유신을 중심으로 한 세력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1)  28대 진덕여왕 (647 ~ 654)

  • 당나라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며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 중국식 복식과 관제를 도입하여 국가 체제를 정비했습니다.
  • 집사부를 중심으로 국가 행정 기구를 개편하여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 김춘추를 외교 사절로 파견하여 신라와 당나라의 군사 동맹을 추진했습니다.
  • 삼국 통일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으나, 생전에 완수하지는 못했습니다.

 
 
2025.02.20 - [한국사/한국사] - 고대 삼국시대 1 - 신라 고구려 백제

고대 삼국시대 1 - 신라 고구려 백제

1. 고대 국가의 특징1) 국가 형성 과정초기에는 여러 소국이 존재하는 연맹 왕국 형태였으며, 점차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였습니다.율령 반포, 불교 수용, 관등제 정비, 군사력 강화 등이 중앙집

trillion91.com

 
2025.02.22 - [한국사/고구려] - 고구려 역대왕들의 업적

고구려 역대왕들의 업적

1. 고구려 역대왕1대 동명성왕기워전 37~ 기원전 1915대 미천왕300 ~ 3302대 유리왕기원전 19 ~ 1816대 고국원왕330 ~ 3713대 대무신왕18 ~ 4417대 소수림왕371 ~ 3844대 민중왕44 ~ 4818대 고국양왕384 ~ 3915대 모

trillion91.com

 
 
2025.02.19 - [한국사/한국사] - 한국사 시대구분과 역대왕 연대표

한국사 시대구분과 역대왕 연대표

-시대구분시대국가연도구석기시대 기원전 70만년 ~ 기원전 8000년경신석기시대 기원전 8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청동기시대고조선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철기시대 기원전 4세기 ~ 부여기원

trillion91.com

 
 

반응형

'한국사 > 신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의 문화사 - 상대 시대 (1대 박혁거세 ~ 28대 진덕여왕)  (0) 2025.02.22
신라의 정치사와 경제사  (0) 2025.02.21
신라의 화랑도  (0) 2025.02.21
신라의 골품제도  (0)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