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백제

백제 역대 왕들의 업적

by 트릴리언 2025. 2. 23.
반응형

 

1. 백제 역대 왕

1대 온조왕 기원전 18 ~ 28 17대 아신왕 392 ~ 405
2대 다루왕 28 ~ 77 18대 전지왕 405 ~ 420
3대 기루왕 77 ~ 128 19대 구이신왕 420 ~ 427
4대 개루왕 128 ~ 166 20대 비유왕 427 ~ 454
5대 초고왕 166 ~ 214 21대 개로왕 455 ~ 475
6대 구수왕 214 ~ 234 22대 문주왕 475 ~ 477
7대 사반왕 234 23대 삼근왕 477 ~ 479
8대 고이왕 234 ~ 286 24대 동성왕 479 ~ 501
9대 책계왕 286 ~ 298 25대 무령왕 501 ~ 523
10대 분서왕 298 ~ 304 26대 성왕 523 ~ 554
11대 비류왕 304 ~ 344 27대 위덕왕 554 ~ 598
12대 계왕 344 ~ 346 28대 혜왕 598 ~ 599
13대 근초고왕 346 ~ 375 29대 법왕 599 ~ 600
14대 근구수왕 375 ~ 384 30대 무왕 600 ~ 641
15대 침류왕 384 ~ 385 31대 의자왕 641 ~ 660
16대 진사왕 385 ~ 392    


2. 백제 역대 왕의 업적

1) 1대 온조왕 (기원전 18~28)

  • 고구려계통의 이주민 집단과 한강 유역의 토착민을 이끌고 하남 위례성에 백제를 건국하였습니다.
  • 고구려와 유사한 문화양식을 지니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돌무지무덤(계단식)과 석촌동 돌무지 무덤이 있습니다.

2) 8대 고이왕 (234~286)

  • 백제의 고대 국가로서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 한강 유역을 장악하고 황해도 지역까지 진출해 영토를 확장하였습니다.
  • 율령을 반포하여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왕권을 강화하였습니다.
  • 6좌평, 16관등제를 도입하고 공복 제정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였습니다.

3) 13대 근초고왕 (346~375)

  • 백제의 전성기를 이끈 왕으로, 최대 영토를 차지하였습니다.
  • 마한 지역을 장악하고 가야 지역에도 영향력을 행사하였습니다.
  • 고구려를 공격하여 평양성을 함락하고 고구원왕을 전사시켰습니다.
  • 해상 교역을 발전시켜 중국 동진 및 일본과 활발히 교류하며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습니다.
  • 일본에 유학자 왕인과 아직기를 파견하여 칠지도(七支刀)를 하사하였습니다.
  • 고흥에게 역사서 서기를 편찬하도록 하였습니다(375).

4) 15대 침류왕 (384~385)

  • 백제에서 불교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인 왕입니다.
  • 중국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래하였으며, 이를 국가의 이념으로 삼았습니다.

5) 17대 아신왕 (392~405)

  •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침공으로 한강 유역을 상실하였습니다.
  • 396년 관미성 전투에서 패배하며 황해도 지역까지 잃었습니다.
  • 일본과 교류하며 군사적 협력을 도모하였습니다.

6) 20대 비유왕 (427~454)

  • 신라 눌지왕과 동맹(나제동맹, 433)을 맺어 고구려의 남하를 견제하였습니다.
  • 왕권 강화를 위해 내부 개혁을 시도하였습니다.

7) 21대 개로왕 (455~475)

  •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백제의 수도 한성이 함락되었습니다.
  • 고구려 승려 도림이 백제에 첩자로 파견되어 개로왕과 친분을 쌓은 후 성 건설을 제안하여 국방비를 사용하게 하였습니다. 이후 고구려가 침공하여 한성이 함락되었고, 개로왕은 전사하였습니다.
  • 개로왕의 전사로 한성백제 시대가 끝이 났습니다.

8) 22대 문주왕 (475~477)

  • 한성이 함락된 후 백제의 수도를 웅진(현재의 공주)으로 천도하였습니다. 
  • 왕권이 약화되었으며, 귀족들의 세력이 강해졌습니다.

9) 24대 동성왕 (479~501)

  • 신라 소지왕과 결혼 동맹을 체결하여 외교 전략을 펼쳤습니다.
  • 탐라국을 정복하였습니다.
  • 중국 남조와의 외교에도 힘을 기울이며 국력 회복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10) 25대 무령왕 (501~523)

  • 백제의 왕권을 강화하고 내부 정치를 안정시켰습니다.
  • 22담로를 설치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고 왕족을 파견하였습니다.
  • 영토 회복을 위해 노력하여 한강 근처까지 되찾았으며, 가야 지역에도 영향력을 행사하였습니다.
  • 중국 남조(양나라)와 활발히 교류하며 선진 문물을 받아들였습니다.
  • 양직공도, 백제 사신도를 통해 양나라와 교류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유학자 고안무와 단양이를 일본에 파견하여 일과 교류하였습니다.
  • 양나라에서는 ‘영동대장군’, 일본에서는 ‘사마왕’이라 불렸습니다.
  • 1971년 무령왕릉이 발견되면서 백제 문화의 높은 수준이 확인되었습니다.

11) 26대 성왕 (523~554)

  • 백제의 수도를 웅진에서 사비(현재의 부여)로 천도하였습니다(538).
  • 국호를 ‘남부여’로 변경하며 새로운 부흥을 도모하였습니다.
  • 중앙관청 22부(내관 12부, 외관 10부)를 설치하고, 중앙 5부, 지방 5방을 정비하며 지방관을 파견하였습니다.
  • 신라 진흥왕과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해 한강 유역을 되찾았으나, 이후 신라의 배신으로 다시 한강 유역을 상실하였습니다.
  • 554년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 승려 노리사치계를 일본에 보내 불상과 불경을 전파하였습니다.

 

 

12) 27대 위덕왕 (554~598)

  • 불교문화를 더욱 발전시키고 사찰 건립을 장려하였습니다.
  • 국가 체제를 정비하며 신라와의 대립을 이어갔습니다.

13) 30대 무왕 (600~641)

  • 서동요의 주인공으로, 신라 진평왕의 딸인 선화공주와 혼인하였습니다.
  • 일본에 승려 관륵을 파견하여 천문, 역법, 둔갑술을 전파하였습니다.
  • 미륵사와 미륵사지 석탑을 건립하여 불교 발전에 기여하였습니다.
  • 신라와 지속적으로 전쟁을 벌이며 백제의 세력을 확장하려 하였습니다.

14) 31대 의자왕 (641~660)

  •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비롯한 여러 성을 점령하였습니다(대야성 전투, 642).
  • 그러나 660년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 공격을 받아 백제가 멸망하였습니다.
  • 항복한 후 당나라로 끌려갔습니다.

 

3. 백제의 수도 변천

1) 한성 백제 (기원전 18~475)

  • 온조왕이 건국한 후 수도를 한성(현재의 서울)으로 정하였습니다.
  •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주변 세력과 교류하며 국력을 키웠습니다.
  • 그러나 475년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이 함락되며 수도를 웅진으로 이전하였습니다.

2) 웅진 백제 (475~538)

  • 문주왕이 수도를 웅진(현재의 공주)으로 옮기면서 시작되었습니다.
  • 왕권이 약화되었고, 귀족 세력의 영향력이 강해졌습니다.
  • 중국 남조와 교류하며 국력을 회복하고자 하였으며, 무령왕 때 정치가 안정되었습니다.

3) 사비 백제 (538~660)

  • 성왕이 수도를 사비(현재의 부여)로 천도하였습니다.
  • 행정 조직을 정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며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였습니다.
  • 그러나 신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660년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였습니다.

 

 

2025.02.23 - [한국사/백제] - 백제의 정치사와 경제사

 

백제의 정치사와 경제사

1. 정치사1) 정사암 회의정사암 회의는 백제의 귀족 회의로, 국가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활용되었습니다. 귀족들로 구성된 이 회의는 왕권을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주요 정책이

trillion91.com

 

2025.02.24 - [한국사/백제] - 백제의 문화사

 

백제의 문화사

백제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독창적인 문화와 뛰어난 예술성을 발전시켰습니다. 특히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예술과 건축, 교육 등의 분야에서 눈부신 성과를 이루었

trillion91.com

 

2025.02.19 - [한국사/한국사] - 한국사 시대구분과 역대왕 연대표

 

한국사 시대구분과 역대왕 연대표

-시대구분시대국가연도구석기시대 기원전 70만년 ~ 기원전 8000년경신석기시대 기원전 80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청동기시대고조선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철기시대 기원전 4세기 ~ 부여기원

trillion91.com

 

반응형

'한국사 > 백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의 문화사  (0) 2025.02.24
백제의 정치사와 경제사  (0) 2025.02.23